맨위로가기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은 웨일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물리학으로 전공을 바꾼 그는 22세의 나이에 조지프슨 효과를 발견하여 197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초심리학과 초능력 현상에 관심을 갖고, 텔레파시를 양자역학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를 했으며, 과학계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물 기억과 상온 핵융합을 옹호했다. 현재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마인드-물질 통합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일스의 노벨상 수상자 - 클라이브 그레인저
    클라이브 그레인저는 공적분 개념을 확립한 시계열 분석의 대가로, 200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계량경제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 웨일스 유대인 - 마이클 하워드
    마이클 하워드는 영국의 정치인으로 하원 의원과 보수당 대표를 지냈으며, 내무장관 시절 강경한 범죄 대응 정책을 추진했고, 상원 의원 임명 후 훈장을 받았다.
  • 웨일스 유대인 - 로저 리스
    로저 리스는 웨일스 출신의 배우이자 연출가로,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연극 배우로 시작해 《니콜라스 니클비의 삶과 모험》으로 로렌스 올리비에 상과 토니상을 수상하며 인정받았고, 이후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 예술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 영국 유대인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영국 유대인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4년 브라이언 조지프슨
2004년
이름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
출생일1940년 1월 4일
출생지웨일스 카디프
국적영국
배우자Carol Anne Olivier (1976년 결혼)
자녀1명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학력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MA, PhD)
박사 학위 논문 제목초전도체의 비선형 전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논문 발표 연도1964년
지도 교수브라이언 피파드
경력
직장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 분야
분야물리학, 응집 물질 물리학
주요 업적조지프슨 효과
수상
수상 내역FRS (1970년)
프리츠 런던 기념상 (1970년)
엘리엇 크레슨 메달 (1972년)
거스리 메달 (1972년)
휴즈 메달 (1972년)
페르낭 올베크 메달 및 상 (1973년)
노벨 물리학상 (1973년)
패러데이 메달 (1982년)
노벨상 수상 이유터널 접합을 통과하는 초전류의 성질, 특히 조지프슨 효과로 잘 알려진 보편적 현상의 이론적 예측

2. 생애와 경력

웨일스 카디프 출신인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은 대학원생 시절인 22세 때 조지프슨 효과를 발견하여,[16] 레오 에사키, 이바르 예베르와 함께 197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1볼트 NIST 조지프슨 접합 어레이 표준 (3020개의 초전도 접합 포함).


조지프슨 효과는 두 초전도체 접합부에서 전압 강하 없이도 전류가 흐르고, 전압 강하가 있으면 전류가 특정 주파수로 진동하며, 자기장에 의존한다는 현상이다.[16] 이 접합부는 조지프슨 접합이라고 불린다.[17] 1962년 ''물리 레터스''에 발표된 조지프슨의 계산 결과는[18][19] 벨 연구소의 필립 앤더슨과 존 로웰이 실험으로 확인했다.[20] 존 바딘은 조지프슨의 연구에 반대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으나,[21] 조지프슨 효과의 발견은 SQUID(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 발명으로 이어져 지질학, 의학, 컴퓨팅 등에서 매우 민감한 측정을 가능하게 했다.[22] IBM은 1980년 조지프슨 효과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기존 실리콘 기반 칩보다 훨씬 빠른 스위칭 속도를 보였다.[72]



197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후, 조지프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응집물질물리학 이론 연구 그룹에서 정신-물질 통합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그는 정규 물리학에서 벗어난 텔레파시 등의 초능력을 양자 역학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웨일스 카디프에서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6] 카디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1] 1957년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수학을 전공했다.[7] 2학년 때 케임브리지 수학 트리포스 Part II를 마치고 물리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8]

케임브리지에서 조지프슨은 명석하지만 수줍음이 많은 학생으로 알려졌다.[9] 학부생임에도 불구하고 뫼스바우어 효과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중요한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10]

1960년 학사 학위를 받고 브라이언 피파드의 지도를 받는 대학원생이 되었다.[11]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케임브리지에서 1년간 연구한 필립 워렌 앤더슨은 조지프슨이 참석하는 수업에 대해 "강사에게는 당황스러운 경험이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12] 조지프슨은 1962년 박사 과정 중 조지프슨 효과를 발견하게 된 연구를 수행했으며,[13] 1964년 ''초전도체의 비선형 전도''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4][15]

2. 2. 조지프슨 효과 발견

웨일스 카디프 출신인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은 대학원생 시절인 22세 때 조지프슨 효과(Josephson effect)를 발견했다.[16] 조지프슨 효과는 두 초전도체 접합부에서 전압 강하 없이도 전류가 흐르고, 전압 강하가 있으면 전류가 특정 주파수로 진동하며, 자기장에 의존한다는 예측이다.[16] 이 접합부는 조지프슨 접합이라고 불린다.[17]

조지프슨의 계산 결과는 1962년 ''물리 레터스''에 "초전도 터널링에서 가능한 새로운 효과"라는 논문으로 게재되었고,[18][19] 벨 연구소의 필립 앤더슨과 존 로웰이 실험으로 확인했다.[20]

1956년 노벨 물리학상과 197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존 바딘은 조지프슨의 연구에 반대하는 논문을 1962년 ''물리 리뷰 레터스''에 제출했다. 1962년 9월 런던 퀸메리 대학교에서 열린 제8회 저온 물리학 국제 회의에서 두 사람은 이 문제로 토론을 벌였다.[21]

조지프슨 효과의 발견은 SQUID(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 발명으로 이어져 지질학, 의학, 컴퓨팅 등에서 매우 민감한 측정을 가능하게 했다.[22] IBM은 1980년 조지프슨의 연구를 바탕으로 IBM 3033 메인프레임보다 최대 100배 빠른 컴퓨터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23]

1962년, 조지프슨은 연습 문제를 풀던 중 초전도체 간의 터널 효과(조지프슨 효과) 계산식을 유도했다.[79] 이는 초고속 컴퓨터 소자인 조지프슨 소자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자기장에 민감하여 고감도 자속계에도 사용된다.[83] 1980년 무렵까지 IBM은 조지프슨 효과를 이용한 실험적인 컴퓨터용 소자를 제작하여 일반적인 실리콘 기반 칩보다 10배에서 100배 빠른 스위칭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72] 조지프슨은 이 업적으로 1973년 노벨 물리학상의 절반을 수상했다.[83]

2. 3. 노벨상 수상

레오 에사키, 이바르 예베르와 함께 197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이는 22세 대학원 시절 조지프슨 효과를 발견한 공로였다.[16] 조지프슨 접합으로 알려진 이 접합부는 두 초전도체의 접합부에서 전압 강하 없이 전류가 흐르고, 전압 강하가 있을 때 전류는 전압 강하와 관련된 주파수로 진동하며, 자기장에 의존한다는 것을 예측했다.[17]

1962년 6월 ''물리 레터스''에 게재된 조지프슨의 계산 결과는[18][19] 벨 연구소의 필립 앤더슨과 존 로웰에 의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20] 존 바딘은 1962년 7월 ''물리 리뷰 레터스''에 조지프슨의 연구에 반대하는 논문을 제출했고, 같은 해 9월 런던 퀸메리 대학교에서 열린 제8회 저온 물리학 국제 회의에서 두 사람은 의견을 교환했다.[21]

조지프슨 효과의 발견은 SQUID(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의 발명을 포함하여 지질학, 의학, 컴퓨팅에서 매우 민감한 측정을 하는 데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물리학"으로 이어졌다.[22] IBM은 1980년 조지프슨의 연구를 사용하여 IBM 3033 메인프레임보다 최대 100배 빠른 컴퓨터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23]

조지프슨은 1969년 과학 발전에 뛰어난 기여를 한 공로로 리서치 코퍼레이션 상을 수상했고,[25] 1972년에는 휴즈 메달과 홀웨크 상을 수상했다. 197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면서, 양자 터널링에 관해 연구한 다른 두 과학자와 함께 122000USD의 상금을 받았다. 조지프슨은 "터널 장벽을 통한 초전류의 성질, 특히 조지프슨 효과로 알려진 현상에 대한 그의 이론적 예측"으로 상금의 절반을 받았다.[26] 나머지 절반의 상금은 에사키 레오와 이바르 예베르가 나누어 가졌다.[27]

2. 4. 학문적 경력

조지프슨은 1962년 트리니티 칼리지의 펠로우가 되었고,[75] 미국으로 건너가 일리노이 대학교의 조교수가 되었다.[75] 1965년부터 1966년까지는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196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돌아와 캐번디시 연구소의 연구 조수가 되었으며, 이후 은퇴할 때까지 이론물리학 그룹인 응집 물질 이론 그룹의 구성원으로 활동했다.[28] 1970년 왕립 학회 회원 (FRS)으로 선출되었고,[29],[77] 같은 해 코넬 대학교로부터 국립 과학 재단 펠로우십을 받아 1년간 연구를 수행했다. 1972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리더 직위를, 1974년에는 정교수 직위를 맡았으며,[75] 2007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30]

1970년대 초부터 초월 명상 (TM)을 실천해 온 조지프슨은 1975년 TM 운동의 일환인 마하리쉬 유럽 연구 대학교 (네덜란드)의 객원 교수가 되었다.[31] 1983년 이후, 웨인 주립 대학교 (1983), 인도 과학원 (1984), 미주리 과학기술 대학교 (1987) 등 다양한 연구 기관의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32],[75]

오랫동안 캐번디시 연구소의 응집 물질 이론 (TCM) 부문의 일원으로 연구를 계속해 왔다.[78] 1973년 33세의 나이로 TCM 부문에서 조수를 맡던 중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79] 조지프슨은 TCM 부문에서 Mind–Matter Unification Project(정신-물질 통합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다.[81] 또한, NeuroQuantology: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Neuroscience and Quantum Physics라는 학술지의 편집 위원도 역임했다.[82]

3. 초심리학 및 의식 연구

조지프슨은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후 정규 물리학에서 벗어나 텔레파시 등의 신비 현상에 관심을 가졌으며, 양자 역학을 통해 초능력을 규명하려는 시도를 했다.[33] 그는 왕립 학회의 모토인 ''nullius in verba''(어떤 권위도 인정하지 않는다)를 신조로 삼으며, 과학계의 주류 의견에 얽매이지 않고 초심리학적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지속했다.[83][84]

1996년, 조지프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캐번디시 연구소에 마인드-물질 통합 프로젝트를 설립하여 자연의 지능적 과정을 탐구했다.[50] 그는 양자 얽힘이 초자연적 현상의 한 징후일 수 있다고 보았다.[10] 그는 기존의 양자역학이 마음과 생명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며, 언어, 음악 등과 같이 정식화할 수 없는 것까지 포함하는 전체적인 이론, 즉 새로운 물리학 이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83]

조지프슨의 연구는 필립 앤더슨을 비롯한 동료 과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53] 그는 이러한 비판을 편견으로 여기고 과학계가 특정 아이디어를 성급하게 거부한다고 주장했다.[54] 그는 자신의 연구를 알프레트 베게너대륙 이동설에 비유하며, 시간이 지나면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믿었다.[57] 또한, 조지프슨은 주류 과학계에서 거부하는 물 기억과 상온 핵융합을 옹호하여 논란을 일으켰다.[65][66]

3. 1. 초기 관심과 초월 명상

조지프슨은 1960년대 후반 마음의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특히 마음-몸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초심리학적 현상(텔레파시, 염력 및 기타 초자연적 현상)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몇 안 되는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33] 1971년, 그는 비틀즈를 포함한 여러 유명 인사들이 수행했던 초월 명상을 시작했다.[34]

1973년 노벨상 수상은 그에게 덜 정통적인 분야에서 연구할 수 있는 자유를 주었고, 그는 동료 과학자들의 짜증을 유발하면서도 과학 컨퍼런스에서 명상, 텔레파시, 더 높은 의식 상태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 점점 더 관여하게 되었다.[35] 1974년, 그는 베르사유에서 열린 분자 및 세포 생물학 콜로퀴움에서 그들에게 ''바가바드 기타''(기원전 5세기 ~ 2세기)와 TM 운동의 창시자인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의 저서를 읽도록 권유하고, 명상을 통해 얻는 특별한 의식 상태에 대해 논쟁하여 과학자들을 분노하게 했다. 한 과학자는 그에게 "우리는 당신의 터무니없는 추측을 들을 의무가 없습니다."라고 소리쳤다. 생물물리학자 앙리 아틀랑은 그 세션이 아수라장으로 끝났다고 적었다.[36]

그해 5월, 조지프슨은 마하리쉬의 케임브리지 방문을 환영하기 위해 열린 심포지엄에서 연설했다.[37] 다음 달, 첫 번째 캐나다 염력 컨퍼런스에서 그는 염력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 매튜 매닝이라는 케임브리지셔 십 대의 주장을 검증한 21명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 조지프슨은 리포터에게 매닝의 능력이 새로운 종류의 에너지라고 믿는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38] 그는 나중에 그 진술을 철회하거나 수정했다.[39]

조지프슨은 트리니티 칼리지가 초자연 현상에 관심을 가져온 전통 때문에 이러한 아이디어를 무조건 무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40] 심령 연구 협회의 여러 회장이 트리니티의 특별 연구원이었으며, 초심리학 연구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1937년 트리니티에 설립된 페롯-워릭 기금은 여전히 칼리지에서 관리하고 있다.[41] 그는 특히 프리초프 카프라의 ''물리학의 타오''(1975)를 읽은 후 자연 속에 지성이 있다는 생각을 계속 탐구했고,[42] 1979년에는 TM-시디 프로그램으로 알려진 더 발전된 형태의 TM을 시작했다. 앤더슨에 따르면, TM 운동은 조지프슨이 바닥에서 몇 인치 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포스터를 제작했다.[43] 조지프슨은 명상이 신비적이고 과학적인 통찰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창조주를 믿게 되었다고 주장했다.[44]

3. 2. 과학계의 논란

조지프슨은 1960년대 후반 마음의 철학, 특히 마음-몸 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며, 텔레파시, 염력 등 초심리학적 현상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몇 안 되는 과학자 중 한 명이다.[33] 1973년 노벨상 수상 이후, 그는 명상, 텔레파시, 더 높은 의식 상태 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동료 과학자들을 짜증나게 했다.[35]

1974년, 그는 베르사유에서 열린 분자 및 세포 생물학 콜로퀴움에서 과학자들에게 ''바가바드 기타''와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의 저서를 읽도록 권유하고, 명상을 통해 얻는 특별한 의식 상태에 대해 논쟁하여 소동을 일으켰다.[36] 같은 해, 그는 캐나다 염력 컨퍼런스에서 염력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 매튜 매닝의 주장을 검증한 21명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38]

조지프슨은 심령 연구 협회 회장들이 트리니티 칼리지 특별 연구원이었고, 초심리학 연구를 지원하는 페롯-워릭 기금이 트리니티에서 관리되고 있었기 때문에 초자연 현상에 대한 관심을 무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40][41] 그는 프리초프 카프라의 ''물리학의 타오''를 읽고 자연 속에 지성이 있다는 생각을 탐구했으며,[42] 앤더슨에 따르면, TM 운동은 조지프슨이 바닥에서 몇 인치 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포스터를 제작했다.[43] 조지프슨은 명상이 신비적이고 과학적인 통찰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창조주를 믿게 되었다고 주장했다.[44]

1970년대 중반, 조지프슨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와 관련된 물리학자 그룹인 Fundamental Fysiks Group과 관련을 맺었다. 이 그룹은 벨의 정리와 양자 얽힘의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원격 작용, 투시, 선견지명, 원격 시각, 염력 등을 탐구했다.[46]

1976년, 조지프슨은 Fundamental Fysiks Group 멤버인 잭 사르파티의 초청으로 캘리포니아를 방문했다.[47] 1978년, 그는 케임브리지에서 의식에 대한 심포지엄을 공동 조직하고, V. S. 라마찬드란과 함께 논문집 ''의식과 물리적 세계''를 출판했다.[48] 1996년, 그는 캐번디시 연구소에 마인드-물질 통합 프로젝트를 설립했다.[50] 2002년, 그는 ''Physics World''에 "미래의 과학은 양자 역학을 특정 종류의 조직화된 복잡한 시스템의 현상으로 간주할 것이다. 양자 얽힘은 그러한 조직의 한 가지 징후이고, 초자연 현상은 또 다른 징후이다."라고 말했다.[10]

조지프슨은 "합의에 의한 과학"을 비판하며, 과학계가 특정 아이디어를 너무 빨리 거부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병적인 불신"을 언급하며 학술 저널이 초심리학 논문을 거부하는 데 책임이 있다고 본다.[55][56] 그는 초심리학을 알프레트 베게너대륙 이동설과 비교하며, 베게너 사후 증거가 나올 때까지 저항과 조롱을 받았다고 말했다.[57]

마틴 가드너는 조지프슨이 J. A. 휠러가 초심리학을 조롱한 기사에 대해 ''뉴욕 서평''에 불만을 제기한 것을 비판했다.[58] 2001년, 조지프슨이 로열 메일의 노벨상 100주년 기념 소책자에서 영국이 텔레파시 연구의 선두에 있다고 썼을 때, 데이비드 도이치는 로열 메일이 속았다고 비판했다.[59]

2004년, 조지프슨은 회의론 연구 위원회가 나타샤 뎀키나의 특수 시력 주장을 시험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을 비판했다. 리처드 와이즈먼은 실험 조건이 사전에 합의되었다고 반박했다.[63]

조지프슨은 물 기억과 상온 핵융합을 지지하며 주류 과학자들에게 비판받았다. 그는 자크 벤베니스트가 제안한 물 기억 회의에 참석한 후 이를 지지했으며,[65] 마틴 플라이슈만이 사망했을 때 ''가디언''에 그를 지지하는 부고를 썼다.[66]

조지프슨은 초심리학적 현상을 믿는 과학자로도 유명하며, 동양의 신비주의가 과학적 이해와 관련될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에도 흥미를 가지고 있다.[84] 그는 왕립 학회 창립의 모토인 ''nullius in verba'' (어떤 권위도 인정하지 않는다)를 신조로 삼고 있으며, "과학자들이 전체적으로 어떤 생각을 부정한다고 해도, 그 생각이 불합리하다는 증거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주장의 기반을 신중하게 조사하고, 얼마나 많은 정밀 검사에 견딜 수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83][84]

2001년, 노벨상 100주년 기념 우표에 덧붙이는 소책자에서 조지프슨은 초심리학적 현상에 대한 견해를 밝혀 주목을 받았다.[86] 그는 텔레파시등이 양자론을 통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고 주장하여 비판을 받았다.[84]

3. 3. 마인드-물질 통합 프로젝트

조지프슨은 1996년 캐번디시 연구소에 자연의 지능적 과정을 탐구하기 위한 마인드-물질 통합 프로젝트를 설립했다.[50] 그는 2002년 ''Physics World''에 "미래의 과학은 양자 역학을 특정 종류의 조직화된 복잡한 시스템의 현상으로 간주할 것이다. 양자 얽힘은 그러한 조직의 한 가지 징후이고, 초자연 현상은 또 다른 징후이다."라고 말했다.[10]

이후 조지프슨은 양자역학의 난제에 매달리는 한편, 생명 및 정신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에르빈 슈뢰딩거, 닐스 보어, 볼프강 파울리 등과 같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 후 생명이나 마음에 대한 연구로 향하는 연구자가 많은데, 조지프슨도 그중 한 명이다.

로저 펜로즈 등의 양자 뇌 이론에서는 뇌 안의 마이크로튜블 속에서 양자 상태의 붕괴가 일어나 의식이 생긴다고 하지만, 조지프슨은 마음과 생명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양자역학을 대폭 확장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이론, 즉 새로운 물리학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현대의 환원주의적 양자론이 아닌 전체적인 이론이 필요하며, 언어·음악 등과 같이 정식화할 수 없는 것까지 포함하는 이론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조지프슨이 지휘하는 Mind–Matter Unification Project(정신-물질 통합 프로젝트)는 대략적으로 지적 과정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이론 물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뇌의 기능과 다른 자연계의 프로세스를 다루는 프로젝트이다.[84] 더 나아가 언어나 의식과 같은 관점에서 뇌의 작용을 해명하는 것, 음악과 정신의 관계 해명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83] 이는 양자역학이 자연의 궁극적인 이론이 아니라는 확신에 근거한다.[83] 그는 "양자역학은 특정 영역에서는 옳지만, 자연을 완전히 묘사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85] 그는 물리학상보성과 같은 생각이 생물학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믿고 있다.[85] 닐스 보어도 비슷한 생각을 했지만, 막스 델브뤼크는 생명이 미시적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고 양자역학은 무관하다고 단정했다.

교수직 은퇴 후에도 조지프슨은 이 프로젝트를 열정적으로 계속하고 있다.[84] 그는 무작위적인 물리 과정을 생명체가 편향시킨다는 현상의 배후에 숨겨진 기구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83]

3. 4. 과학계의 비판과 반응

조지프슨은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후 정규 물리학에서 벗어나 텔레파시 등의 신비 현상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양자 역학을 통해 초능력을 규명하려는 시도를 하고 관련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33] 1970년대부터 그는 이단적인 주장을 펼쳐 필립 앤더슨을 비롯한 동료 과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53]

1974년, 베르사유에서 열린 분자 및 세포 생물학 콜로퀴움에서 조지프슨은 과학자들에게 ''바가바드 기타''(기원전 5세기 ~ 2세기)와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의 저서를 읽도록 권유하고, 명상을 통해 얻는 특별한 의식 상태에 대해 논쟁하여 과학자들을 분노하게 했다. 한 과학자는 "우리는 당신의 터무니없는 추측을 들을 의무가 없습니다."라고 소리쳤다.[36]

조지프슨은 이러한 비판을 편견으로 여기며, 이로 인해 학문적 지원 네트워크를 잃었다고 믿는다.[54] 그는 "합의에 의한 과학"을 반복적으로 비판하며, 과학계가 특정 아이디어를 성급하게 거부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학술 저널이 초심리학 논문을 거부하는 것에 책임이 있다고 보며, 초심리학을 1912년 알프레트 베게너가 제안한 대륙 이동설에 비유한다. 베게너의 이론은 사후 증거가 나오고 나서야 받아들여졌으며, 그전까지는 저항과 조롱을 받았다.[57]

1980년, 과학 저술가 마틴 가드너는 조지프슨이 ''뉴욕 서평''에 초심리학을 조롱하는 기사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것을 비판했다.[58] 2001년, 몇몇 물리학자들은 로열 메일이 발행한 노벨상 100주년 기념 소책자에서 조지프슨이 영국이 텔레파시 연구의 선두에 있다고 쓴 것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59]

2004년, 조지프슨은 회의론 연구 위원회가 러시아 여고생 나타샤 뎀키나의 특수 시력을 이용한 투시 능력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을 비판했다.[62]

조지프슨은 주류 과학계가 거부하는 물 기억과 상온 핵융합을 지지하며 이단적인 주장을 옹호하는 명성을 굳혔다. 2012년 마틴 플라이슈만이 사망했을 때, 조지프슨은 ''가디언''에 그를 지지하는 부고를 썼다.[66]

조지프슨은 왕립 학회 창립 모토인 ''nullius in verba''(어떤 권위도 인정하지 않는다)를 신조로 삼으며, "과학자들이 특정 생각을 부정하더라도 그것이 불합리하다는 증거는 아니다. 오히려 주장의 기반을 신중히 조사하고 얼마나 정밀 검사에 견딜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83][84]

2001년 노벨상 100주년 기념 우표 소책자에서 조지프슨은 초심리학적 현상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86] 데이비드 도이치는 이를 "완전한 쓰레기다. 텔레파시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로열 메일은 완전한 난센스를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고 속은 것과 같다"라고 비판했다.[86] 이에 대해 조지프슨은 "텔레파시의 존재를 보여주는 증거는 여러 개 있다. 그러나, 그런 주제의 논문은 거부당한다. 전혀 불공평하다"고 지적했다.[86]

3. 5. 상온 핵융합 및 물 기억 옹호

조지프슨은 주류 과학자들이 거부하는 물 기억과 상온 핵융합을 옹호하여 명성을 얻었다. 물 기억은 동종 요법에 대한 가능한 설명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를 사이비 과학으로 일축한다. 그럼에도 조지프슨은 프랑스 면역학자 자크 벤베니스트가 처음 제안한 회의에 참석한 이후 물 기억을 지지해 왔다.[65] 상온 핵융합은 핵반응이 실온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가설이다. 마틴 플라이슈만이 2012년에 사망했을 때, 조지프슨은 ''가디언''에 그를 지지하는 부고를 썼으며, ''네이처''에 그의 부고가 플라이슈만에게 적절한 공로를 부여하지 못했다는 불만을 제기하는 편지를 게재했다.[66] 조지프슨은 마틴 플라이쉬만과 스탠리 폰스가 1989년에 발표한 상온 핵융합 발견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를 진행했으며, 많은 과학자들이 이 현상을 재현하려 했지만 실패했으나, 자신은 재현에 성공한 사례를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88]

4. 수상 내역

조지프슨은 1969년 과학 발전에 뛰어난 기여를 한 공로로 리서치 코퍼레이션 상을 수상했고,[25] 1972년에는 휴즈 메달과 홀웨크 상을 수상했다.[71] 1973년에는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는데, 그는 양자 터널링에 관해 연구한 다른 두 과학자와 함께 122000USD의 상금을 받았다. 조지프슨은 "터널 장벽을 통한 초전류의 성질, 특히 조지프슨 효과로 알려진 현상에 대한 그의 이론적 예측"으로 상금의 절반을 받았다.[26] 나머지 절반의 상금은 일본 물리학자 에사키 레오와 노르웨이계 미국인 물리학자 이바르 예베르가 나누어 가졌다.[27]

연도상 이름
1969년New Scientist영어 상, 연구 법인(Research Corporation) 상[25]
1970년왕립 학회 회원(FRS) 선출,[29] 프리츠 런던 기념상(Fritz London Memorial Prize)[71]
1972년거스리 메달 및 상(Guthrie Medal)(물리학 연구소),[71] 국제 전파 과학 연합(International Union of Radio Science) 반 데르 폴 메달,[71] 엘리엇 크레슨 메달(Elliott Cresson Medal)(프랭클린 연구소),[71] 휴즈 메달(Hughes Medal),[71] 홀웨크 상(Holweck Prize)(물리학 연구소 및 프랑스 물리학 연구소)[71]
1973년노벨 물리학상[71]
1974년웨일스 대학교(University of Wales) 명예 박사 학위[71]
1982년패러데이 메달(Faraday Medal)(전기 기술자 협회)[71]
1983년엑서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 명예 박사 학위[30]
1984년서 조지 톰슨 상(측정 및 제어 연구소)[71]


5. 주요 저서

출판 연도제목비고
2012"생물학적 관찰자-참여와 휠러의 법 없는 법칙"플라멘 L. 시메오노프, 레슬리 S. 스미스, 앙드레 C. 에레즈만 (eds.), 적분 생물수학, 스프링거, pp. 244–252.
2005"서문"마이클 A. 탤번과 란스 스톰 (eds.), 21세기 초심리학, 맥팔랜드, pp. 1–2.
2003"우리는 우리가 분명하게 생각한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분명하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패트릭 콜름 호건과 라리타 판딧 (eds.),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보편성과 전통, 페어리 디킨슨 대학교 출판부, pp. 107–115.
2003https://arxiv.org/abs/physics/0312012 "끈 이론, 보편적 마음, 그리고 초자연 현상"arXiv, physics.gen-ph.
2002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3264701001733 "양자 이론 너머: 현실에 대한 현실주의적 정신-생물학적 해석' 재검토"바이오시스템즈, 64(1–3), pp. 43–45.
2000http://physicsworldarchive.iop.org/index.cfm?action=summary&doc=13%2F10%2Fphwv13i10a21%40pwa-xml&qt= "초자연 현상 주장에 대한 긍정적 편견"물리학 세계.
1999http://physicsworldarchive.iop.org/index.cfm?action=summary&doc=12%2F2%2Fphwv12i2a19%40pwa-xml&qt=%28Brian%20Josephson%20%3Cin%3E%20%28name%29%29 "진실이란 무엇인가?"물리학 세계.
1997http://physicsworldarchive.iop.org/index.cfm?action=summary&doc=10%2F9%2Fphwv10i9a14%40pwa-xml&qt=%28Brian%20Josephson%20%3Cin%3E%20%28name%29%29 "회의론자들은 궁지에 몰렸다"물리학 세계.
1997"음악은 무엇을 위한 언어인가?"파보 필케넨, 파울리 필코, 안티 하우타마키 (eds.), 뇌, 마음, 그리고 물리학, IOS 프레스, pp. 262–265.
1996http://physicsworldarchive.iop.org/index.cfm?action=summary&doc=9%2F12%2Fphwv9i12a29%40pwa-xml&qt=%28Brian%20Josephson%20%3Cin%3E%20%28name%29%29 "의식적으로 X-요소 회피"물리학 세계.
1996http://www.timeshighereducation.co.uk/features/do-you-believe-in-psychic-phenomena-are-they-likely-to-be-able-to-explain-consciousness/92971.article "심령 현상을 믿으십니까? 그들이 의식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with 제시카 웃츠, 타임스 고등 교육.
1996"음악은 마음에 대한 본질에 대해 무엇을 말해줄 수 있는가? 플라톤 모델"with 테티스 카펜터, in 스튜어트 R. 해머로프, 앨프레드 W. 카즈니악, 알윈 스콧 (eds.), 의식 과학을 향하여, MIT 프레스, pp. 691–694.
1995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mg14619755.600-light-barrier.html "빛의 장벽"with 콜름 월과 앤서니 클라크, 뉴 사이언티스트.
1994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mg14419566.400-awkward-eclipse.html "어색한 일식"뉴 사이언티스트.
1994https://web.archive.org/web/19970605054135/http://www.phy.cam.ac.uk/www/research/mm/articles/heretic.txt BBC 이단자 시리즈"타임스 고등 교육 보충판.
1992http://www.tcm.phy.cam.ac.uk/~bdj10/mm/articles/athens.pdf "의식 연구의 도전"with 베벌리 A. 루빅, 프론티어 관점, 3(1), pp. 15–19.
1991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BF01889532#page-1 "양자 비국소성의 생물학적 활용"with 포티니 팔리카리-비라스, 물리학의 기초, 21(2), pp. 197–207.
1990"약하게 결합된 초전도체의 발견 역사"존 로체 (ed.), 물리학자들은 뒤돌아본다: 물리학사 연구, CRC 프레스, p. 375.
1988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BF01889431#page-1 "양자 역학 보편성의 한계"물리학의 기초, 18(12), pp. 1195–1204.
1987"양자 이론 너머: 물리적 현실에 대한 현실주의적 정신-생물학적 해석"with M. 콘라드와 D. 홈, in 알윈 반 데르 메르베, 프랑코 셀레리, 지노 타로치 (eds.), 미세물리적 현실과 양자 형식주의, 스프링거, p. 285ff.
1981http://rstb.royalsocietypublishing.org/content/295/1077/375.short "지각 실험과 언어 이론"with D.E. 브로드벤트, 왕립 학회 철학적 회보, 295(10772).
1981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articleid=1663548&show=abstract "지능적 행동의 다단계 습득"with H. M. 하우저, 키버네테스, 10(1).
1980의식과 물리적 세계with V. S. 라마찬드란 (eds.), 페르가몬 프레스.
1980http://www.nybooks.com/articles/archives/1980/jun/26/parapsychology-an-exchange/ "초심리학: 교환"with 리처드 D. 매턱, 에반 해리스 워커, 올리비에 코스타 드 보르가르, 뉴욕 북 리뷰, 27.
1979"서문"in 안드리야 푸하리치 (ed.), 아이슬란드 논문: 의식 물리학에 대한 실험적 및 이론적 연구에 대한 선택된 논문, 에센티아 연구 협회.
1978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642-93104-8_1 "고차 의식 상태와 명상의 이론적 분석"사이버네틱스 및 시스템의 최신 주제, pp. 3–4.
1974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642-80885-2_20 "뇌와 신경계 연구에 대한 인공 지능/심리학적 접근법"생물수학 강의 노트, 4, pp. 370–375.
1974http://iopscience.iop.org/0305-4608/4/5/016 "174 MHz에서 초전도 주석의 표면 리액턴스에 대한 자기장 의존성"물리학 저널 F: 금속 물리학, 4(5).
1973[ftp://162.105.205.230/pub/Books/NobelLecturePhysics/1973josephson.pdf "터널링 초전류의 발견"]사이언스, 노벨 강연.
1969http://iopscience.iop.org/0022-3719/2/7/302 "임계점 근처의 상태 방정식"물리학 저널 C: 고체 물리학, 2(7).
1969http://adsabs.harvard.edu/abs/1969PhRvL..23..111J "페르미 액체 내 불순물의 이동성"with J. 레크너, 물리적 검토 레터. 23(3), pp. 111–113.
1967http://iopscience.iop.org/0370-1328/92/2/302 "비열에 대한 부등식: II. 임계 현상에 대한 적용"물리 학회 회보, 92(2).
1967http://iopscience.iop.org/0370-1328/92/2/301 "비열에 대한 부등식: I. 유도"물리 학회 회보, 92(2).
1966http://prola.aps.org/abstract/PR/v152/i1/p211_1 "평형 상태의 금속에 대한 거시적 장 방정식"피지컬 리뷰, 152.
1966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0031916366900886 "Tc 근처의 초유체 He에 대한 초유체 밀도와 질서 매개변수 간의 관계"물리 레터, 21(6).
1965http://adsabs.harvard.edu/abs/1965AdPhy..14..419J "장벽을 통한 초전류"물리학의 발전, 14(56), pp. 419–451.
1964http://ulmss-newton.lib.cam.ac.uk/vwebv/holdingsInfo?bibId=35254 초전도체에서의 비선형 전도(박사 학위 논문), 케임브리지 대학교.
1964http://rmp.aps.org/abstract/RMP/v36/i1/p216_1 "결합된 초전도체"현대 물리학 검토, 36(1), pp. 216–220.
1962http://www.dspace.cam.ac.uk/handle/1810/243916 "뫼스바우어 효과 및 결합된 초전도체에서의 상대론적 변화"트리니티 칼리지 펠로우십 제출.
1962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0031916362913690 "초전도 터널링에서 가능한 새로운 효과"물리 레터, 1(7), pp. 251–253.
1960http://www.osti.gov/scitech/biblio/4170593 "고체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의 온도 의존적 변화"피지컬 리뷰 레터, 4.
1997년『노벨상 과학자 브라이언 조지프슨의 과학, 심령 현상을 어떻게 파악하는가』번역: 모기 켄이치로・타케우치 카오루, 토쿠마 서점: ISBN 4-19-860702-8, 원제: The Paranormal and Platonic World (직역: "과학을 넘어선 정신 세계")


참조

[1] 간행물 JOSEPHSON, Prof. Brian David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Emeritus Faculty Staff List http://www.phy.cam.a[...]
[3] 웹사이트 Brian D. Josephson http://www.britannic[...]
[4] 웹사이트 Mind–Matter Unification Project (TCM Group, Cavendish Laboratory) http://talks.cam.ac.[...] McFarland 1996-04-08
[5] 웹사이트 Science history: The man attempting to merge physics and the paranormal https://cosmosmagazi[...] cosmosmagazine.com 2019-03-18
[6] 간행물 International Who's Who, 1983–84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Limited 1983
[7] 비디오 Brian Josephson: The Path to the Discovery http://sms.cam.ac.uk[...] 2012-06-00
[8] 비디오 John Waldram: Reminiscences http://sms.cam.ac.uk[...] 2012-07-18
[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r. Philip Anderson http://www.aip.org/h[...] 1999-11-23
[10] 웹사이트 Pioneer of the Paranormal http://www.tcm.phy.c[...] 2002-05-00
[11] 웹사이트 Brian D. Josephson http://www.britannic[...]
[12] 논문 How Josephson Discovered His Effect http://ist-socrates.[...] 1970-11-00
[13] 웹사이트 Unveiling of B D Josephson commemorative plaque http://sms.cam.ac.uk[...] 2012-11-00
[14] 논문 Non-linear conduction in superconductors http://ulmss-newton.[...] University of Cambridge 1964
[15] 웹사이트 Brian D. Josephson http://www.britannic[...]
[16] 서적 The New Quantum Age: From Bell's Theorem to Quantum Computation and Teleport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7] 서적 The Nature of Scienc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3
[18] 논문 Possible new effects in superconductive tunnelling
[19] 서적 Physicists Look Back: Studies in the History of Phys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0
[20] 논문 Probable Observation of the Josephson Superconducting Tunneling Effect http://prl.aps.org/a[...] 1963-03-15
[21] 웹사이트 The Nobel Laureate Versus the Graduate Student http://scitation.aip[...] 2001-07-00
[22] 서적 The New Quantum Age: From Bell's Theorem to Quantum Computation and Teleport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3] 웹사이트 Brian D. Josephson http://www.britannic[...]
[24] 웹사이트 Why a crocodile? https://web.archive.[...]
[25] 뉴스 Physics is Often a Young Man's Game https://news.google.[...] Associated Press 1969-12-17
[2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3 http://nobelprize.or[...]
[2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3 http://nobelprize.or[...]
[28] 웹사이트 Cambridge Theory of Condensed Matter group http://www.tcm.phy.c[...]
[29] 웹사이트 Professor Brian Josephson FRS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30] 서적 Brian D. Josephson http://nobelprize.or[...]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1992
[31] 간행물 International Who's Who, 1983–84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Limited 1983
[32] 서적 Brian D. Josephson http://nobelprize.or[...]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1992
[33] 뉴스 Lone voices special: Take nobody's word for it https://www.newscien[...] 2006-12-09
[34] 서적 Celebrating the Dawn: Maharishi Mahesh Yogi and the TM technique Putnam 1976
[35] 뉴스 For Winners, a New Life of Opportunity – and Perils https://www.jstor.or[...] 2001-10-12
[36] 서적 Enlightenment to Enlightenment: Intercritique of Science and Myth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3
[37] 뉴스 Josephson on transcendental meditation https://books.google[...] New Scientist 1974-05-16
[37] 뉴스 The birth of Creative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New Scientist 1974-05-23
[38] 서적 The Psychology of the Psychic Prometheus Books 2000
[38] 간행물 Report on Demonstration and Experiments performed during the Conference http://www.islandnet[...] New Horizons 1975-01
[39] 서적 One Foot in the Stars Thorsons 1999
[40]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4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Fin de Siècle 2007
[40] 서적 Altering Consciousness: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ABC-CLIO 2011
[41] 간행물 A Theoretical Analysis of Higher States of Consciousness and Meditation https://link.springe[...] Current Topics in Cybernetics and Systems 1978
[41] 뉴스 lone voices special take nobody's word for it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6
[42] 서적 The Omni Interviews Ticknor & Fields 1984
[42] 서적 Three Degrees Above Zero: Bell Laboratories in the Information Age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7
[42] 서적 The Path of No Resistance: The Story of the Revolution in Superconductivity Simon & Schuster 1989
[43] 서적 The Mind of God Simon & Schuster 1993
[43] 서적 Cosmos, Bios, Theos https://books.google[...] Open Court Publishing 1992
[44] 비디오 How the Hippies Saved Physics http://shass.mit.edu[...] MIT School of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2010
[45] 비디오 How the Hippies Saved Physics http://shass.mit.edu[...] MIT School of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2010
[46] 서적 How the Hippies Saved Physics: Science, Counterculture, and the Quantum Revival http://shass.mit.edu[...] W. W. Norton & Company 2011
[46] 간행물 Information transmission under conditions of sensory shielding http://www.nature.co[...] Nature 1974-10-17
[46] 간행물 Investigating the paranormal http://www.nature.co[...] Nature 1974-10-18
[46] 서적 Science: Good, Bad, and Bogus Prometheus Books 1989
[47] 서적 Consciousness and the Physical World https://www.reposito[...] Pergamon Press 1980
[48] 서적 Overcoming Modernity: Synchronicity and Image-Thinking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9
[48] 서적 Enlightenment to Enlightenment: Intercritique of Science and Myth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3
[48] 간행물 Science and Consciousness: Two Views of the Universe Pergamon Press 1984
[49] 웹사이트 Mind Matter Unification/The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https://web.archive.[...] 1996-03-26
[49] 웹사이트 Mind–Matter Unification Project https://web.archive.[...] 1997-04-27
[49] 웹사이트 http://www.tcm.phy.c[...]
[50] 웹사이트 The Pollock Memorial Lecture http://ns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New South Wales and the University of Sydney 2014-03-02
[50] 웹사이트 4th Hermann Staudinger Lecture with Nobel Laureate Brian D. Josephson, 28 October 2009 http://www.frias.uni[...] Freiburg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2009-10-28
[50] 웹사이트 2010 Professor Brian Josephson: Which way for Physics? http://www.lboro.ac.[...] Loughborough University 2014-06-05
[51] 뉴스 He didn't see that coming, or did he? http://www.timeshigh[...] Times Higher Education 2010-04-19
[51] 뉴스 The not-so-noble past of the Nobel Prizes http://theconversati[...] The Conversation 2013-10-06
[52] 서적 The Nobel Prize: A History of Genius, Controversy, and Prestige Arcade Publishing 2001
[52] 서적 Superstition: Belief in the Age of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53] 뉴스 lone voices special take nobody's word for it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6
[54] 학술지 Pathological Disbelief: Lecture at 54th. Nobel Laureates' meeting at Lindau https://www.reposito[...] 2015-04-16
[55] 뉴스 lone voices special take nobody's word for it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6
[55] 강연 Pathological Disbelief 2004-06-30
[56]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56] 학술지 Rationality at Risk: Science against Pseudoscience https://www.jstor.or[...] Minerva 1985-06
[57] 뉴스 Parapsychology: An Exchange http://www.nybooks.c[...] New York Review of Books 1980-06-26
[58] 웹사이트 Physics and the Nobel Prizes http://www.tcm.phy.c[...] Royal Mail 2001
[59] 뉴스 Royal Mail's Nobel guru in telepathy row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20-10-13
[60] 뉴스 Time Travel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20-10-13
[61] 비디오 Body Shock: The Girl With X-Ray Eyes https://www.youtube.[...] Discovery Channel 2004
[61] 비디오 Body Shock: The Girl With X-Ray Eyes - part 2 https://www.youtube.[...] Discovery Channel 2004
[61] 비디오 Body Shock: The Girl With X-Ray Eyes - part 3 https://www.youtube.[...] Discovery Channel 2004
[61] 뉴스 Natasha Demkina: The Girl with Very Normal Eyes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05-01-28
[62] 뉴스 Scientists fail to see eye to eye over girl's 'X-ray vision' http://www.timeshigh[...] Times Higher Education 2004-12-10
[62] 웹사이트 Scientists' unethical use of media for propaganda purposes http://www.tcm.phy.c[...] Cavendish Laboratory 2004
[62] 뉴스 Distorted visions 2 http://www.timeshigh[...] Times Higher Education 2004-12-17
[62] 뉴스 Distorted visions 1 http://www.timeshigh[...] Times Higher Education 2004-12-17
[63] 뉴스 Distorted visions 3 http://www.timeshigh[...] Times Higher Education 2004-12-17
[64] 뉴스 lone voices special take nobody's word for it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6
[64] 웹사이트 Molecule memories http://www.tcm.phy.c[...] New Scientist 1997-11-01
[64] 웹사이트 Molecular memory http://www.tcm.phy.c[...] The Independent 1999-03-22
[64] 서적 The Homeopathic Revolution https://books.google[...] North Atlantic Books 2007
[65] 뉴스 Martin Fleischmann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8-31
[65] 간행물 Fleischmann denied due credit http://www.nature.co[...] Nature 2012-10-04
[65] 웹사이트 http://www.tcm.phy.c[...]
[65] 서적 Cultural Boundaries of Science: Credibility on the Lin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66] 뉴스 http://www.timeshigh[...] Times Higher Education 2010-04-19
[66] 뉴스 Private email, public mob http://www.timeshigh[...] Times Higher Education 2010-05-13
[66] 뉴스 21st-century directions in de Broglie-Bohm theory and beyond https://web.archive.[...] Physics World 2010-07
[67] 웹사이트 The nobel disease https://sciblogs.co.[...] Science Media Center 2020-05-19
[68] 학술지 The Nobel disease: When intelligence fails to protect against irrationality Skeptical Inquirer 2020
[69] 뉴스 Tunnelling for physicists https://books.google[...] New Scientist 1973-11-01
[71]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at nobelprize.org http://nobelprize.or[...]
[72]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annica's Guide to the Nobel Prizes http://www.britannic[...] 2009-10-14
[7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3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08-10-09
[74] 웹사이트 Brian David Josephson http://www.jewishvir[...] 2007-09-17
[75]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at nobelprize.org http://nobelprize.or[...]
[76] 서적 Transcendent in America NYU Press 2010-01-01
[77] 웹사이트 Brian D. Josephson – Curriculum Vitae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09-06-17
[78] 웹사이트 Cambridge Theory of Condensed Matter group http://www.tcm.phy.c[...] University of Cambridge 2009-10-14
[79] 웹사이트 1973 Nobel Prize in Physics https://www.nobelpri[...] The Nobel Foundation 2009-10-14
[80] 웹사이트 Nobel interview with Josephson http://nobelprize.or[...] 2010-11-12
[81] 웹사이트 Research in TCM http://www.tcm.phy.c[...]
[82] 웹사이트 NeuroQuantology Editorial Team http://www.neuroquan[...] NeuroQuantology: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Neuroscience and Quantum Physics 2009-10-20
[83] 웹사이트 Pioneer of the Paranormal http://physicsworlda[...] 2009-06-17
[84] 웹사이트 Brian David Josephson at Cavendish http://www.tcm.phy.c[...] 2009-10-14
[85] 웹사이트 Can the Physicist's Description of Reality be Considered Complete? http://video.google.[...] 2009-06-17
[86] 뉴스 Royal mail's guru in telepathy row http://www.guardian.[...] 2009-06-17
[87] 서적 Parapsychology in the twenty-first century: essays on the future of psychical research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5
[88] 웹사이트 Dreaming of fusion http://physicsworld.[...] 2009-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